proscribe
해커스 보카 2nd ed.엔 나오지 않는 어휘다.
워드 파워 메이드 이지에 나온다.
scribe가 들어간 어휘들이 많은데
한번 알아둘 겸 정리했다.
proscribe 뜻은,
1. 금지하다
2. 추방하다
3. (고대 로마에서) 처벌자의 이름을 공표(공개)하다
3번 뜻은 어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뜻이다.
네이버사전에 서비스되는
교학사 신영한대사전에는 [로마法]이라고 돼있다.
어원을 보면,
15세기 '전에 쓰다, 앞에 붙이다'라는 뜻으로 처음 쓰였다.
'써서 공표하다', '앞에 쓰다'라는 뜻의 라틴어 proscribere에서 유래했다.
공개적으로(대중에게) 범죄행위로 인해 재산을 몰수하고 비난하며 추방한다는 것을 공표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로바법이었다고 하는데
지금 시대에도 흉악범의 경우 법원결정을 거쳐 신상공개를 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금지하다, 추방하다'의 뜻이 나온 배경이 이해된다.
워드 파워 메이드 이지에는
고대 로마시대, 어떤 사람이 재산이나 목숨을 빼앗길 만한 범죄를 저지르면 이름이 공공게시판에 쓰였고,
시민들이 그를 피해 다닐 수 있었다.
의사도 환자가 건강을 해치는 음식이나 일을 게시판에 써주었고,
환자는 해로운 음식이나 활동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한다.
쪼개 보면,
proscribere = pro (before) + scribere (to write) 앞에, 미리 써두다
'잘못 된 것이나 위험한 것을(으로부터) 금지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됐다.
scribe를 더 파고들어가 보면,
scribere는 그리스어 skariphasthai와 비슷하다.
skariphasthai는 (윤곽을) 자국내다(파내다)의 뜻이다.
'쓰다'라는 뜻을 가진 scribe는
인도유럽공통조어(Proto-Into-European, PIE)로 거슬러 올라간다.
PIE 어근 skribh- 는 자르다(to cut)라는 뜻이다.
자르다, 둘로 나누다라는 뜻에서 어떻게 쓰다라는 뜻이 나왔을까?
나무, 돌, 진흙에 표식을 새기면 둘로 갈라지게 된다.
쐐기문자를 연상해보면
'자르다'에서 '쓰다'라는 뜻이 흘러나오게 된 것을
상상해볼 수 있다.
scribe 어근과 관련된 어휘가 많다. 모두 쓰다는 뜻과 관련돼있다.
prescribe 규정하다, 처방하다 (pre 미리 + 써주다 = 처방하다)
describe 묘사하다 (de 아래로 + 써내려가다 = to write down)
subscribe 기부하다, 출자하다, 구독하다 (sub 아래 + 이름쓰다 = 구독하다)
*철학이나 원칙의 선언문에 자기이름을 쓴다 = 동의/찬성하다라는 뜻도 있다.
script 필적, 각본(스크립트)
manuscript 필사본 (영어를 쓸 때 손으로 쓰는 체를 메뉴스크립트체라고 한다)
(manus = hand)
inscribe 새기다, 기입하다 (in 안에 + 쓰다 = 기입하다)
기억하자.
describe 묘사하다
inscribe 기입하다
proscribe 금지하다, 추방하다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