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커스 보카 2nd ed.

(7)해커스 보카 unsophisticated / un (not) + sophisticatus (탁하게 하다) =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세련되지 않은 / 라틴어 어원

unsophisticated의 의미는 주의해야 한다.

sophisticated에 크게 2가지 뜻이 있기 때문이다.

옥스포드사전에는

1. 세련된, 교양 있는

2. 정교한, 복잡한

3. 지적인, 수준 높은

복잡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을 그냥 '복잡하다'고 하면 안된다.

아주 '지적이고 수준 높은' 사람, '정교하고 세련된' 사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sophisticate는

사전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1. 복잡하게 하다, 정교하게 만들다

2. 궤변으로 속이다, 현혹되게 하다

뭔가 상반돼 보이는 뜻으로 나온다.

뉘앙스가 좀 다르ㅏ.

 

명사로는 닳고 닳은 사람, 현명한 사람, 세련된 사람의 뜻.

복잡하다와 세련되다, 확실히 다른 의미다.

이 상황이 복잡하다 할때는 complicated가 쓰인다면

이 복잡한 문제를 현명하게 풀 수 있는(다룰 수 있는) 사람을 sophisticated 하다고 표현한다.

그런 사람이 세련된 사람인 것.

사람에게 sophisticated 라고 하면

worldly-wise 세상물정에 밝은, 처세술에 능한, 안목있는, 문명화된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상황이나 현상에 sophisticated 라고 하면

상황이 복잡하다라는 뜻보다는 복잡미묘하다, 굉장히 섬세하게, 수준 있게 풀어야 하는 문제다라는 뜻으로 이해된다.

어원적으로 보면,

중세 라틴어 sophisticatus에서 나왔다.

sophisticare의 과거분사형.

1400년대엔 불순물을 섞어 탁하게 하다는 뜻이었다.

외부 물질이 섞이면 그 물질의 순수성(단일물질은 단순하다)이 훼손되니 순수하지 못하다(impure)라는 뜻으로 되는 것이다.

더이상 단순하고 자연스럽지 않다는 뜻이 sophisticated로 됐다.

1600년대에는 궤변으로 속이다(delude by sophistry)의 뜻.

cf) 지금도, sophist는 궤변가, sophistic 궤변의 라는 뜻이다.

1796년에는 단순함을 허용치 않는다(deprive of simplicity)는 뜻에서 복잡하다는 뜻으로 굳어졌다.

정리하면,

(물질이) 순수하지 못하다 → 단순하지 않다 → 복잡하다 → 궤변으로 속이다 → 단순하지 않다 → 복잡하다 → 정교하다, 세련되다, 수준 있다, 지적이다

로마시대에 수사학 교육이 중요했다고 한다.

화려한 언변술로 복잡한 논리를 구성하는 능력자를

점차 세련되다, 지적이다고 보게 된 것 같다.

sophy라는 말이

철학 philosophy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 찾아봤다.

고대불어 filosofie (근대불어 philosophie) < 라틴어 philosophia < 그리스어 philosophia

쪼개보면,

philo (=loving) + sophia (=knowledge, wisdom)

익히 잘 알려진 어원이다.

여기 sophia와 관련된 어원인지는 더 연구해봐야겠다.

MD 보카 3300에는

sophisticated 어원이

soph (wise 현명한)에서 '현명하게 잘 만들어진' 이란 뜻에서 유래했다고 나와있는데

옥스포드, 웹스터, etymonline.com에는 그렇게 나와있진 않다.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