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커스 보카 2nd ed.

(6)해커스 보카 afford / af- (ad- <a- <ge-) + forthian (forth, advance) = 주다, ~할 만하다 / 라틴어 어원

afford

1. ~할 여유(형편)가 되다

2. ~하면 안되다

3. 주다, 제공하다

afford는 해석할 때 유의해야 한다.

'~할 만하다'는 뜻으로 해석이 될 때가 있다.

그냥 '주다'라는 뜻만 기억하면 가끔 문맥상 어색하게 해석할 수 있다.

옥스포드사전에 나온 예문.

Can we afford a new car?

새 차를 살 형편이 되나요? 란 뜻.

또, 안된다는 뜻도 있다.

We cannot afford to ignore this warning.

이 경고를 무시해선 안된다는 뜻.

주의하자.

afford 어원을 보면,

중세영어 iforthen, aforthen

라틴어 aff- 를 차용한 후 철자가 변화했는데

고대 영어로 거슬러 올라가면 철자가 많이 달랐다.

웹스터사전에 보면,

고대영어에서 geforðian

to send out(보내다), promote(촉진하다), carry out(수행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etymonline.com에는

to put forth, contribute; further, advance; carry out, accomplish의 듯으로 두루 나와있다.

'앞으로 나아가다'는 뜻.

accomplish 즉 '성취하다'는 뜻은 점차 '비용을 감당할 만하다, 충분히 돈이 있다'는 뜻으로 되고

원뜻은 사라지게 됐다.

쪼개보면,

ge- (완료접두사) + forðian (to send out, promote)

ge-를 a로 때체된 뒤, 다시 a가 라틴어의 ad-에서 변형된 것으로 잘못 이해돼

결국 f발음앞에서 ad가 af로 변형되고,

ð (th)가 d로 바뀌게 된다.

(참고로, burthen, spither, murther 어휘들의 철자도 th가 d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

어근 부분은 forth, forward 라는 뜻을 가진 forþ의 파생어.

어원을 통한 어휘학습에서

꼭 어원만으로 뜻을 유추하긴 어려운 것도 많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어휘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건 흥미롭다.

그 다음에는 반복이 필수다.

그 뜻이 이미지로 기억될 때까지

영어원서를 꾸준히 읽으며 익숙해져야 한다.